들어가기 앞서
우리나라는 사계절 기후를 뚜렷하게 가진 나라 중 하나입니다. 이로 인해서 여름철 냉방비나, 겨울철 난방비를 걱정하지 않을 수 없을텐데요. 일반적인 가정은 그나마 냉난방비에 걱정이 많지는 않겠지만, 어르신, 아이 또는 장애인과 같이 일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한 사람의 경우에는 냉난방비 걱정이 많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정부에서 이러한 냉난방비에 걱정이 많은 대상을 위해 에너지 비용을 지원해주는 제도를 소개해드리려고합니다. 꽤 다양한 상황에 처한 사람들을 지원하는 정책이므로 혹시 나도 받을 수 있을까 하는 마음으로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에너지 바우처 신청 대상 및 자격, 방법, 사용법 완벽 총정리!
▶ 에너지 바우처가 도대체 뭔가요?
쉽게 말하면, 도움이 필요한 이웃이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하게 지낼 수 있도록 정부가 에너지 비용을 지원해주는 에너지 쿠폰이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현금으로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전기나 가스 요금이 자동으로 할인되거나, 전용 카드로 에너지원(기름, 연탄 등)을 살 수 있게 해주는 방식입니다.
▶ 신청 및 지원 자격은 어떻게 되나요?
자격 요건은 크게 2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아래를 보시죠.
- 소득 기준 : 나라에서 정한 기초생활보장 혜택을 받고 있어야 합니다.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 하나라도 받고 있다면 해당 됨)
- 가족 특성 : 우리 집에 아래에 해당하는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다면 됩니다.
- 어르신 (만 65세 이상)
- 어린이 (만 7세 이하)
- 장애인 (등록 장애인)
- 임산부 (임신 중이거나, 아기 낳은 지 6개월이 안 된 분)
- 아프신 분 (중증 / 희귀 / 중증난치질환자)
- 한부모 가족 또는 소년소녀가장
- 예외 사항
- 가족 모두가 90일 넘게 병원에 입원 중일 때
- 겨울에 연료비 할인 같은 비슷한 지원을 이미 받고 있을 때는 중복 혜택 불가능
▶ 그럼 얼마를 지원해주는 건가요?
지원 금액은 가족 수(주민등록등본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그리고, 1년에 딱 한번만 여름+겨울 합쳐서 아래 금액만큼 지원됩니다.
| 구분 (가구원 수) | 총 지원금액 (연간) | 예외 지원금액 (하절기 전용) |
| 1인 세대 | 295,200원 | 40,700원 |
| 2인 세대 | 407,500원 | 58,800원 |
| 3인 세대 | 532,700원 | 75,800원 |
| 4인 이상 세대 | 701,300원 | 102,000원 |
| (참고) | 대부분 이 금액을 자유롭게 사용 | 연탄쿠폰 등 다른 겨울 지원을 받을 시, 이 금액만 받음 |
사용 기간은 2025년 7월 1일부터 ~ 2026년 5월 25일 (약 11개월)입니다. 이것은 매년 비슷한 일정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2024년까지는 하절기 / 동절기를 나눠서 생각해야 했는데, 2025년부터는 폐지되었습니다. 1년간 받은 총 지원금액 한도 내에서 원하는 시기에 자유롭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 신청은 어디서 해야하죠?
신청 기간은 매년 5월 말경 ~ 12월 말경 입니다.
- 자세한 신청 기간은 매년 5월경에 공고되므로, 주민센터나 에너지 바우처, 복지로 사이트를 꼭 확인해야 합니다.
- 올해 신청 기간은 2025년 6월 9일부터 2025년 12월 31일까지이니 참고하세요.
- 에너지 바우처 사이트 바로가기
신청 방법
- 방문 신청 (오프라인)
- 주민등록상 거주지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합니다.
- 본인 또는 대리인(가족, 친척, 담당 공무원)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신청
- 에너지 바우처(https://www.energyv.or.kr/) 또는 복지로(www.bokjiro.go.kr) 웹사이트나 앱을 통해서 신청하면 됩니다.
▶ 사용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에너지 바우처 사용법은 하절기와 동절기가 다릅니다.
더운 여름 (7월 ~ 9월)
- 무조건 전기 요금 자동 할인됩니다.
- 신청 시 고지서에 적힌 고객번호를 제출하면, 해당 기간 동안 전기 요금 고지서에서 바우처 금액만큼 자동으로 차감됩니다.
신청할 때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합니다.
1) "우리 집은 아파트/빌라인데요" → <요금 차감> 방식 추천!
전기, 도시가스, 지역난방 요금 중에서 원하는 걸 고르면, 겨울 내내 그 요금에서 알아서 깎여요.
장점: 여름처럼 신경 쓸 필요가 전혀 없어서 가장 편해요.
2) "우리 집은 기름보일러/연탄 쓰는데요" → <국민행복카드> 방식 추천!
'국민행복카드'라는 실물 카드를 받게 돼요.
이 카드를 들고 등유, LPG, 연탄 파는 가게에 가서 직접 긁으면 돼요. (물론 전기/가스 요금도 이 카드로 납부 가능!)
장점: 고지서가 없는 에너지원을 살 수 있어서 좋아요.
글을 마치면서
어떻게 보면 추울 때 따뜻하게 보내고, 더울 때는 시원하게 사는게 행복이 아닐까 싶습니다. 모든 사람이 행복할 수 있는 정책이니, 조건에 맞는 분이라면 꼭 신청하시기 바랄께요!
자세한 에너지바우처 내용은 아래 페이지를 참고하세요~
더 궁금한 부분이 있다면 아래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에너지바우처 콜센터: 1600-3190
- 가까운 주민센터
그럼 시원하고 따뜻한 한 해 보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