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 초기증상, 물집 전 '이 신호' 놓치지 마세요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들어가기 전에

"평소에도 가끔씩 찌릿찌릿한 적이 있어서 참았어요"

"그냥 담이 걸린 줄 알았어요"

"벌레에 물린 줄 알고 연고만 발랐어요"


위에 세 가지 말이 대상포진 진단을 받은 환자들이 공통적으로 한다고 합니다. 대상포진은 피부에 물집이 잡히기 며칠전부터 몸속에서 신호를 보냅니다. 하지만, 대상포진을 겪어보지 못한 사람이라면, 이 전조 증상을 감기몸살이나 단순 근육통 정도로만 생각하여 치료의 골든타임(72시간)을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상포진 초기증상, 물집 전 '이 신호' 놓치지 마세요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 물집보다 '통증'이 먼저 온다 (전조 증상)

많은 사람들이 대상포진을 피부병으로만 생각해서 눈에 보이는 물집이 생겨야만 병원에 갑니다. 하지만,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신경을 타고 피부로 나오기 때문에, 피부 발진이 생기기 평균 4~5일 전부터 심한 통증과 감각 이상이 먼저 발생합니다.

이 시기에 겉보기에는 아무런 상처가 없어서 진단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느낌이 든다면 의심해봐야 합니다.

  • 감기몸살 같은 전신 증상 : 이유 없이 열이 나고 오한이 들며, 온몸이 쑤십니다.
  • 설명하기 힘든 통증 : 콕콕 찌르는 느낌, 불에 타는 듯한 화끈거림, 또는 전기가 통하듯 짜릿한 느낌이 반복됩니다.
  • 옷깃만 스쳐도 아픔(이질통) : 피부에 상처가 없는데, 손이 닿거나 손으로 살짝 쓸리기만 해도 쓰라린 고통이 발생합니다.

사실, 대상포진을 겪어보지 않으신 분이라면 대부분 그냥 지나갈 확률이 높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평소와 다른 느낌이 드신다면 빨리 병원에 가서 의사의 처방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몸의 '한쪽'에만 나타난다 (편측성) 

대상포진을 가장 쉽게 판별하는 방법은 편측성입니다. 즉, 한쪽으로 증상이 잘 나타난다는 것입니다. 우리 몸의 신경은 척추를 중심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눠져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그중 하나의 신경 줄기를 타고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도 몸의 중앙선을 기반으로 한쪽에만 나탑니다.

  • 오른쪽 등과 오른쪽 가슴
  • 왼쪽 이마와 왼쪽 눈 주변
  •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예처럼 띠 모양으로 한쪽에만 통증이 집중된다면, 대상포진일 확률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양쪽 어깨가 동시에 뭉치거나 양쪽 다리가 아픈 경우에는 단순 근육통일 확률이 높겠죠?


대상포진은 신경 줄기를 타고 내려오기 때문에, 몸의 한쪽 편에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 피부 발진의 진행 과정

대상포진이 시작되었다면 위에서 말한 것처럼 통증이 시작되었을 것입니다. 며칠 뒤, 아픈 부위에는 피부 발진이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피부 발진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붉은 반점 : 모기에 물린 것처럼 붉게 달아오릅니다.
  2. 물집(수포) 형성 : 12~24시간 내에 붉은 반점 위에 물집들이 다닥다닥 무리지어 잡힙니다. 이때 모양이 띠(Zoster)를 두른 것 같다고 해서 대상포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네요.
  3. 고름과 딱지 : 3일 정도가 지나면 물집 색이 탁해지면서 고름이 차고, 1~2주에 걸쳐서 딱지가 앉으며 회복됩니다.

이때, 주의 해야할 부분은 물집이 결국 터질텐데요. 해당 부분은 2차 세균 감염의 위험이 있고, 진물을 통해서 수두를 앓지 않은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으므로 절대 손으로 터뜨리거나 만지면 안됩니다.

이 점은 꼭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초기 붉은 반점에서 시작해 수포가 포도송이처럼 무리지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혹시 나도? 대상포진 자가진단 체크리스트

사실, 지금까지 글을 읽으셨어도 내가 대상포진이 맞는건지? 단순 증상 뿐인건지? 긴가민가하시는 분들이 많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래서 아래 체크리스트를 준비해봤는데요. 아래 항목 중에 3개 이상 해당한다면 즉시 전문의에게 진단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  ] 얼리 적 수두를 앓은 적이 있거나, 과거에 수두 예방접종을 했다.

[  ] 최근 과로나 스트레스가 심했고 면역력이 떨어진 느낌이다.

[  ] 몸의 한쪽(왼쪽 혹은 오른쪽) 특정 부위만 유독 아프다.

[  ] 통증 부위의 피부 감각이 남의 살처럼 둔하거나, 반대로 예민하다.

[  ] 통증이 생긴 후 며칠 뒤에 그 자리에 붉은 반점이나 물집이 생겼다.

[  ] 물집이 띠 모양으로 모여서 발생했다.

[  ] 단순 근육통 파스나 진통제를 써도 통증이 가라않지 않는다.

의심될 땐 '설마' 하지 말고 병원에 가는 것이 평생 갈 신경통을 막는 길입니다.


▶ 헷갈리기 쉬운 질환과의 차이점

대상포진은 수포 발현이나 증상이 확실할 때까지 의사도 정확히 진단하기 어려운 질환 중 하나입니다. 그러므로, 대상포진과 증상이 비슷한 질환들을 보시고, 사전에 예방하시기 바랄게요!

  • 단순 포진 (헤르페스) : 입술 주변 등에 생기며 재발이 잦지만, 통증이 심하지 않고 물집이 국소적입니다. 대상포진의 물집은 꽤 광범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접촉성 피부염/벌레 물림 : 가려움증이 주된 증상입니다. 대상포진의 통증은 찌릿하거나 욱신거림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근육통/담 : 근육을 누르거나 움직일 때 아프지만, 대상포진은 가만히 있어도 찌릿한 신경통이 느껴지며 피부 표면이 쓰라립니다.
  • 협심증/요로결석 : 대상포진이 가슴이나 옆구리에 오면 장기 질환으로 오해하기 쉽습니다. 내과 검사상 이상이 없는데 통증이 지속된다면 대상포진을 의심하는 것이 좋습니다.

 

글을 마치면서

저도 대상포진을 겪어봤지만, 다른 질환과는 전혀 다른 느낌이었습니다. 턱에 생긴 대상포진으로 인해서 뇌까지 찌릿한 느낌이 들다가, 결국에는 오돌토돌한 수포가 나기 시작했었거든요.

이처럼, 대상포진을 겪지 않으시려면, 의심 증상이 나타났을 때 꼭 병원에 방문하시기 바랍니다. 며칠 쉬면 낫겠지라고 방치하다가 운이 나쁜 경우에는 피부 병변은 나았는데도 통증이 사라지지 않는 대상포진 후 신경통으로 진행될 수 있거든요.

자가진단 결과를 통해 조금이라도 의심된다면, 피부과, 통증의학과, 내과 등 가까운 병원을 찾아서 꼭 진료받으시기 바랍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이미 가족 중에 환자가 있거나, 아이가 있는 집에서 가장 걱정하는 대상포진 전염성에 대해 자세히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 [전체 가이드] 대상포진의 모든 것 (원인, 예방접종, 치료 총정리) 다시 보기 

👉 대상포진 전염성 팩트체크: 아기, 임산부 가족이 있다면 '이것'만 주의하세요



댓글 쓰기

다음 이전